|
![]() |
||||||||||||
|
|||||||||||||
|
|
|
![]()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1. 프로젝트 수주 (Accepting
an Order) 프로젝트를
수주하기 전에 보통 상담 및 견적, 작업 계획, 스케줄 등을 선행처리하게됩니다.
프로젝트
내용 및 성격에 맞는 작업 경력 또는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 번역팀 구성 스케줄
및 작업계획 구체적인 작업계획 및 스케줄 재작성 프로젝트에 대한 개요 및 지침교육 4.
어휘집 마련 (Glossary Generation) UI(User
Interface) 용어를 중심으로 프로젝트에 나오는 기술적인 용어를 취합하여 고객으로부터 피드백을 받은 후 번역사들이
일관성 있게 적용하도록 함. 프로젝트에 따라서는 중간 중간에 용어를 취합해서 고객의 승인을 받는 경우도 있으며,
이 때는 번역사들에게 신속하게 용어에 대한 피드백을 전달하여 적용시킴.
6. 감수 (Proofreading) & 검수 (Editing) 언어적 검수(Linguistic Review: 문체, 오역, 맞춤법, 표현력 등)와 기술적 검수(Technical Review: 전문 용어 및 기술적 내용 검수, 기능적 테스트 등)로 구분하여 실시하며, 고객이 원하는 최고의 품질이 될 수 있도록 번역자 및 감수자와 책임편집자가 반복하여 완성함.
QA는 프로젝트 및 고객에 따라 고객 평가 방법 및 평가 횟수에 차이는 있지만, 일반적으로 용어 선정에서 DTP에 이르기까지 각 단계별로 지속적인 리포트 및 피드백을 통해 고객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뛰어난 제품 품질을 유지하고 고객으로부터 우수한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함. 의뢰인의 의뢰원문이 변경되지 않는 한 가능한 끝까지 최선을 다해서 신속하게 불평에 대응함. 원문이 변경되지 않으면 요금을 부과하지 않음.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